동부 (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Vigna unguiculata)는 완두콩 및 콩 속에 속하는 식물로, 검은 눈 완두, 남부 완두, 쥬우로쿠사사게 등 다양한 품종으로 재배된다. 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씨앗은 단백질과 영양소가 풍부하여 식용으로 사용된다. 동부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질소 고정 능력이 있어 다른 작물과 간작이 가능하다. 주요 생산국은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이며, 콩 꼬투리 벌레, 콩 바구미 등 병충해에 취약하다. 동부는 스튜, 수프, 페이스트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팥밥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부속 - 우라드콩
우라드콩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검은색 콩으로, 쪄서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요리에 사용되며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동부속 - 장두
장두는 덩굴성 식물로, 보라색 또는 흰색의 나비 모양 꽃이 피고 30~60cm 길이의 꼬투리가 열리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지이고 볶음, 나물, 조림 등으로 요리해 먹는 채소이다. - 질소 고정 작물 - 땅콩
땅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지하에서 열매가 맺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식용, 기름 생산, 사료, 산업적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영양가가 풍부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질소 고정 작물 - 콩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두류 - 렌즈콩
렌즈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렌즈 모양의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 섬유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고 수프, 카레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두류 - 리마콩
리마콩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콩과 식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재배화되었으며, 크기와 색깔에 따라 리마콩과 버터빈으로 나뉘고,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높은 영양가를 지니지만 생으로 섭취 시 독성이 있어 익혀 먹어야 한다.
동부 (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사사게속 Vigna unguiculata |
명명자 | (L.) Walp. |
이명 | Dolichos biflorus L. Dolichos catiang L. Dolichos catjang Burm.f. nom. illeg. Dolichos catjang L. Dolichos hastifolius Schnizl. Dolichos lubia Forssk. Dolichos melanophthalamus DC. Dolichos monachalis Brot. Dolichos obliquifolius Schnizl. Dolichos sesquipedalis L. Dolichos sinensis Forssk. nom. illeg. Dolichos sinensis L. Dolichos sphaerospermus (L.) DC. Dolichos tranquebaricus Jacq. Dolichos unguiculata L. Dolichos unguiculatus Thunb. Liebrechtsia scabra De Wild. Phaseolus cylindricus L. Phaseolus sphaerospermus L. Phaseolus unguiculatus (L.) Piper Scytalis hispida E.Mey. Scytalis protracta E.Mey. Scytalis tenuis E.Mey. Vigna alba (G.Don) Baker f. Vigna angustifoliolata Verdc. Vigna baoulensis A.Chev. Vigna catjang (Burm.f.) Walp. Vigna coerulea Baker Vigna dekindtiana Harms Vigna hispida (E.Mey.) Walp. Vigna huillensis Baker Vigna malosana Baker Vigna protracta (E.Mey.) Walp. Vigna pubescens R.Wilczek Vigna rhomboidea Burtt Davy Vigna scabra (De Wild.) T.Durand & H.Durand Vigna scabrida Burtt Davy Vigna sesquipedalis (L.) F. Agcaoili nom. illeg. Vigna sesquipedalis (L.) Fruwirth Vigna sinensis (L.) Endl. ex Hassk. nom. illeg. Vigna sinensis (L.) Savi ex Hausskn. Vigna tenuis (E.Mey.) F.Dietr. Vigna triloba var. stenophylla Harv. |
명칭 | |
한국어 | 사사게 |
영어 | Cowpea |
영어 (다른 이름) | Black-eyed pea |
일본어 | 사사게 |
한국어 (한자) | [[파일:Vigna unguiculata Blanco2.285.png|250px]] |
영어 (학명) | Vigna unguiculata () |
영양 정보 | |
열량 | 336 kcal |
단백질 | 23.9 g |
지방 | 2.0 g |
탄수화물 | 55.0 g |
녹말 | 36.3 g |
칼슘 | 75 mg |
철분 | 5.6 mg |
베타카로틴 | 19 ug |
티아민 | 0.50 mg |
리보플래빈 | 0.10 mg |
추가 정보 (원료 씨앗) | |
수분 | 11.95 g |
열량 | 336 kcal |
단백질 | 23.52 g |
지방 | 1.26 g |
탄수화물 | 60.03 g |
섬유질 | 10.6 g |
설탕 | 6.9 g |
칼슘 | 110 mg |
철분 | 8.27 mg |
마그네슘 | 184 mg |
인 | 424 mg |
칼륨 | 1112 mg |
나트륨 | 16 mg |
아연 | 3.37 mg |
비타민 C | 1.5 mg |
티아민 | 0.853 mg |
리보플래빈 | 0.226 mg |
니아신 | 2.075 mg |
비타민 B6 | 0.357 mg |
엽산 | 633 ug |
비타민 A | 3 ug |
비타민 A (IU) | 50 IU |
비타민 K | 5 ug |
포화 지방 | 0.331 g |
단일 불포화 지방 | 0.011 g |
다중 불포화 지방 | 0.542 g |
2. 분류 및 명칭
카우피는 *Vigna* 속 *unguiculata* 종에 속하며, 여러 아종 및 품종 그룹으로 나뉜다. '카우피'라는 명칭은 소의 사료로 사용된 것에서 유래되었다.[4] *V. unguiculata* 내의 야생 친척 분류는 20개 이상의 다른 이름이 사용되고 3개에서 10개의 하위 그룹이 설명되면서 더 복잡하다.[10][11] 이 중 *stenophylla*, *dekindtiana*, *tenuis*는 모든 분류학적 처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하위 그룹이며, *pubescens*와 *protractor* 변종은 1993년 특성화에 의해 아종 수준으로 격상되었다.[10][12] 대표적인 품종 그룹으로는 *unguiculata*, *biflora*, *sesquipedalis*, *textilis*가 있다.[10][25]
2. 1. 일반적인 명칭
''Vigna unguiculata''는 ''Vigna''(완두콩 및 콩) 속의 일원이다. ''Unguiculata''는 라틴어로 "작은 발톱이 있는"을 의미하며, 이는 꽃잎의 작은 자루를 반영한다.[4] 재배되는 카우피의 일반적인 이름으로는 검은 눈 완두[5], 남부 완두[6], 니베(niebe)[7](또는 ñebbe)[8], 크라우더 완두[9]가 있다. 모든 재배되는 카우피는 ''V. unguiculata'' 아종 ''unguiculata'' 분류 내에서 발견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품종 그룹으로 나뉜다: ''unguiculata'', ''biflora'', ''sesquipedalis'', ''textilis''.[10][25]
'카우피'라는 단어는 1798년 미국에서 처음 나타났다.[4] 이 이름은 소의 사료 작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붙여졌을 가능성이 높다.[13] ''unguiculata'' 품종 그룹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름인 검은 눈 완두는 씨앗의 배꼽에 뚜렷한 검은 반점이 있는 것을 설명한다. 검은 눈 완두는 미국 남부 주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일부 초기 품종은 꼬투리에 완두콩이 빽빽하게 뭉쳐져 있어 남부 완두와 크라우더 완두라는 다른 일반적인 이름으로 이어졌다.[4]
''Sesquipedalis'' 아종은 아시아를 통해 미국에 도착했다. 이 아종은 특이하게 긴 꼬투리가 특징이며, 라틴어 이름(''sesquipedalis''는 "발과 반 피트 길이"를 의미)과 야드롱 콩, 아스파라거스 콩, 중국 긴 콩이라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이어졌다.[14]

그룹 | 일반적인 이름 |
---|---|
Unguiculata | 검은 눈 완두, 크라우더 완두, 남부 완두, 니베, ñebbe |
Biflora | 캣장, 소 완두 |
Sesquipedalis | 야드롱 콩, 아스파라거스 콩, 중국 긴 콩 |
Textilis | 야생 카우피, 아프리카 카우피, 에티오피아 카우피 |
2. 2. 한국어 명칭
사사게: 검은 눈콩이라고 불리는 품종은 크림색 바탕에 검은색 큰 반점을 하나 가지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디저트 재료로 사용된다. 인도에서 중동에 걸쳐 재배되고 있다. 미국 남부와 서인도 제도에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에 의해 전해져 주로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전통 요리인 소울 푸드 등에 사용된다.[4]하타사사게, 얏코사사게: 구세계의 열대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며, 미국에서는 사료 작물로 재배된다.[4]
쥬우로쿠사사게 (十六豇豆): 길게 자라는 꼬투리를 채소로 이용한다. 동남아시아와 일본의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4]
3. 형태적 특징
카우피는 품종에 따라 덩굴성, 반덩굴성, 직립성 등 다양한 생육 형태를 보인다. 덩굴성은 지지대를 타고 올라가거나 땅을 따라 뻗어 나가며, 직립성은 덤불처럼 자란다.[16][17] 곧은뿌리는 8주 후에 2.4m 깊이까지 뻗을 수 있다.[18]
잎의 크기와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카우피 품종을 분류하고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이다.[19] 긴 꽃자루는 20cm에서 50cm 길이로, 여러 개의 꽃과 꼬투리를 지탱한다.[18] 꽃은 연보라색, 보라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17]
꼬투리 길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며, 재배 품종은 10cm에서 110cm 길이의 꼬투리를 가질 수 있다.[20] 꼬투리에는 6개에서 13개의 씨앗이 들어있는데, 보통 콩팥 모양이지만 꼬투리 안에서 더 제한될수록 씨앗은 더 둥글어진다.[16][18] 씨앗은 흰색, 검은색, 갈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18] 특히 검은 눈 콩(black-eyed pea)은 크림색 바탕에 검은색 큰 반점을 가지고 있어 특징적이다.
4. 역사
카우피의 재배 역사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서아프리카 또는 동아프리카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자 표지를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동아프리카에서 재배가 시작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21] 가나 중부 암석 쉼터에서 발견된 탄화된 카우피 잔해는 기원전 2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4]
기원전 2300년경에는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었으며, 이후 지중해를 거쳐 그리스인과 로마인에게도 사용되었다.[25][26] 카우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300년에 나타났으며, 17세기에서 19세기 초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5][22]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큰 콩"으로 기록이 남아 있으며[87], 에도 시대의 『농업전서』에는 "강두"라는 이름으로 재배법이 기록되어 있다.[85]
4. 1. 한국에서의 역사
한국에서는 팥 대신 팥밥, 떡 등에 동부가 사용되었다. 특히, 동부는 껍질이 잘 터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팥 대신 팥밥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에도 시대 무사들은 팥이 가열 중 껍질이 터지는 현상("동절")을 할복과 연관지어 무가에서 기피했고, 대신 동부를 사용했다.[89]5. 재배
카우피는 척박하고 건조한 환경, 특히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27]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어 수수, 조, 옥수수, 카사바, 목화 등과 함께 간작하기에 좋다.[29]
생육 적온은 30°C이며, 연간 강수량 400mm에서 700mm인 지역에서 잘 자란다.[30] 척박하고 산성인 토양에도 잘 견디는 편이다. 직립 품종은 1헥타르 당 133000/ha을 심고, 덩굴성 품종은 60000/ha을 심는다.[30] 씨앗은 약 100일 후, 식물 전체는 약 120일 후에 수확할 수 있다. 잎은 파종 후 4주부터 수확 가능하다.[30]
서아프리카의 사헬 지역과 같이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비료를 적게 사용해도 되고, 조기 성숙 품종은 강수량이 500mm 미만인 반건조 기후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유용한 작물이다.[31]
6. 병충해
곤충은 아프리카 콩 작물의 낮은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90% 이상의 수확량 손실을 유발한다.[37] 콩의 주요 해충은 다음과 같다.
- 수확 전 해충: 마루카 꼬투리 벌레,[38] 노린재, 총채벌레, 진딧물, 콩 커큘리오(''Chalcodermus aeneus'')[37][39][40][41][42]
- 수확 후 해충: ''콩 바구미'', ''Callosobruchus chinensis''[41][42]
''M. vitrata''는 넓은 숙주 범위와 세계적 분포로 인해 재배 중인 콩에 가장 큰 피해를 주며, 꽃봉오리, 꽃, 꼬투리에 손상을 입혀 20~88%의 수확량 손실을 일으킨다.[43] 곤충은 모든 성장 단계에서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대부분 개화기에 발생한다.[43] 생물학적 해충 방제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대부분 농약 사용에 의존한다. 유전자 변형 작물 콩은 ''Bacillus thuringiensis''에서 cry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개발되었으며, 이는 마루카를 포함한 나비목 종에 독성이 있다.[44] BT 콩은 2019년 나이지리아에서 상업화되었다.[45]

심각한 ''콩 바구미'' 감염은 저장된 콩의 100%에 영향을 미치고 몇 달 안에 최대 60%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46][47] 콩 바구미는 일반적으로 수확 전에 구멍을 통해 콩 꼬투리에 들어가 마른 씨앗에 알을 낳는다.[48] 유충은 씨앗 속으로 파고 들어가 배유를 먹고, 씨앗 안에서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으로 발달한다.[49] 개별 딱정벌레는 20~40개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최적의 조건에서 각 알은 3주 안에 생식 활성 성충으로 발달할 수 있다.[50] 가장 일반적인 보호 방법은 살충제 사용이며, 카바메이트, 합성 피레스로이드, 유기인산염 등이 주로 사용된다.[51]
콩은 선충,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질병에도 취약하여 상당한 수확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52] 일반적인 질병으로는 잎마름병, 뿌리 썩음, 시듦병, 흰가루병, 뿌리혹, 녹병, 잎 반점병 등이 있다.[53] 콩은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취약하며, 이로 인해 잎에 녹색 모자이크 패턴이 나타난다.[53] 1959년에 발견된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 (CPMV)는 안정적이고 높은 수율로 쉽게 증식할 수 있어 벡터 개발 및 단백질 발현 시스템에 유용한 연구 도구로 활용된다.[54] 콩의 일부 곤충 공격에 대한 방어 중 하나는 콩 트립신 억제제 (CpTI)이다.[55] CpTI는 유전자 이식을 통해 다른 작물에 해충 방지제로 삽입되었으며, ''B. thuringiensis''에서 유래한 유전자를 제외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유전자 변형 작물에 삽입된 유일한 유전자이다.[56]
7. 이용 및 요리
카우피는 주로 식용 콩으로 이용되지만, 잎, 녹색 씨앗, 꼬투리도 섭취 가능하다.[62] 삶거나 볶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페이스트나 가루 형태로 가공되기도 한다.[66]
아프리카에서는 카우피를 페이스트로 으깨어 향신료와 섞어 바나나 잎으로 찐 '코키' 또는 '모인-모인'이라는 간식을 즐겨 먹는다.[68] 카우피 페이스트는 아기들이 우유를 끊을 때 유아용 조제분유에 보충제로 사용되기도 한다.[70]
남아메리카에서는 동부를 번영과 행운을 부르는 음식으로 여겨 정초에 먹는 풍습이 있다.
7. 1. 세계 각국의 요리
카우피는 주로 식용 콩을 위해 재배되지만 잎, 녹색 씨앗 및 꼬투리도 섭취할 수 있다. 다른 콩과 식물과 마찬가지로 카우피는 삶아서 조리한다.[63] 카우피는 스튜, 수프, 퓌레, 캐서롤 및 카레로 준비할 수 있으며,[64][65] 페이스트 또는 가루로 가공할 수도 있다.[66]- 호핑 존: 쌀과 돼지고기로 양념한 검은 눈 콩을 넣은 요리로, 미국 남부의 전통적인 새해 첫날 의례 음식이다.[72]
- 텍사스 캐비어: 가열한 콩깍지를 식혀 잘게 썬 마늘과 비네그레트 소스를 곁들인 요리이다.
- 코키(Koki) 또는 모인-모인(Moin-Moin): 카우피를 페이스트로 으깨어 향신료와 섞어 바나나 잎으로 찐 아프리카의 흔한 간식이다.[68]
- 단 웨이크: 나이지리아 북부와 주변 지역에서 흔히 먹는 카우피 만두이다.[69]
7. 2. 한국의 요리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큰 콩"으로 기록이 남아 있다.[87] 에도 시대의 『농업전서』에는 "강두"라는 이름으로 많은 품종과 재배법에 대한 설명이 있다.[85]팥(아즈키)은 물에 담가 불리는 침지 시간을 길게 할수록 가열 중에 갈라지는 "동절"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 에도의 무사들 사이에서는 "할복과 통한다"하여 기피되었다. 이 때문에 관동 지방 등에서는 껍질이 잘 터지지 않고 끓여도 잘 풀어지지 않는 동부를 팥 대신 팥밥에 사용했다.[88][89]
- 사사게 떡
- 토비츠키 경단 - 후쿠이현의 향토 요리로, 경단에 동부 콩을 묻힌 것이다.[90]
동부의 콩깍지가 부풀기 시작할 무렵의 어린 열매를 껍질째 적당히 썰어 돼지고기, 당근 등과 함께 볶아 간장으로 간을 하거나, 된장찌개 재료나 삶은 꼬투리를 깨무침 등으로 활용한다.
8. 영양 및 건강
동부 씨앗은 단백질과 음식 에너지가 풍부하고, 미네랄과 비타민도 많이 들어 있다.[66] 동부는 주요 식량 작물로 재배되는 국가에서 곡물을 주식으로 하는 식단을 보완해 준다.[73] 씨앗은 단백질 함량이 25%에 달하며, 지방 함량은 매우 낮다.[74] 동부 전분은 곡물 전분보다 소화가 느려 인체 건강에 더 유익하다.[66] 또한 엽산이 풍부하여 태아의 신경관 결손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5]
동부는 씨앗과 잎에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어 "가난한 사람의 고기"라고도 불린다.[63] 그러나 피틴산,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같은 항영양소 성분도 포함되어 있어 영양 가치를 떨어뜨리기도 한다.[66] 발효, 불리기, 발아, 제분, 오토클레이빙 등의 방법으로 영양소의 생체 이용률을 높여 항영양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76] 잎과 덜 익은 꼬투리의 영양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잎은 검은 가지나 고구마 잎과 비슷한 영양가를 가지며, 녹색 꼬투리는 말린 씨앗보다 항영양 인자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6]
생 동부(씨앗)의 영양 성분 (100g 기준)은 다음과 같다.
영양 성분 | 함량 |
---|---|
물 | 11.95g |
kcal | 336 |
단백질 | 23.52g |
지방 | 1.26g |
탄수화물 | 60.03g |
섬유질 | 10.6g |
당류 | 6.9g |
칼슘 | 110mg |
철 | 8.27mg |
마그네슘 | 184mg |
인 | 424mg |
칼륨 | 1112mg |
나트륨 | 16mg |
아연 | 3.37mg |
비타민C | 1.5mg |
티아민 | 0.853mg |
리보플라빈 | 0.226mg |
니아신 | 2.075mg |
비타민B6 | 0.357mg |
엽산 | 633ug |
비타민A | 3ug (50 IU) |
비타민K | 5ug |
포화지방 | 0.331g |
트랜스지방 | 0g |
단일불포화지방 | 0.011g |
다중불포화지방 | 0.542g |
9. 생산 및 소비
Cowpea영어는 대부분 아프리카 대륙에서 생산되며, 특히 나이지리아와 니제르가 전 세계 생산량의 66%를 차지한다.[78] 사헬 지역에는 부르키나파소, 가나, 세네갈, 말리 등 주요 생산국이 있다. 니제르는 콩의 주요 수출국이며 나이지리아는 주요 수입국이다. 1997년 추정에 따르면 콩은 1250만 헥타르에서 재배되었으며 전 세계 생산량은 300만 톤이었다.[79] 콩은 중앙 및 서아프리카 농부들에게 주요 소득 작물로 여겨지며, 약 2억 명이 매일 콩을 소비하는 것으로 추산된다.[80]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에 따르면 2012년 현재 서아프리카의 콩 평균 수확량은 483kg/ha로 추산되었으며,[78] 이는 잠재적 생산 수확량 추정치의 50% 미만이다.[81] 일부 전통적인 작물 재배 방법에서는 수확량이 100kg/ha만큼 낮을 수 있다.[17]
아프리카 외 주요 생산 지역은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이다. 브라질은 연간 콩 생산량의 17%를 차지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콩 씨앗을 많이 생산하는 국가이지만,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된다.[82]
2020년 건조 콩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77]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entry for ''Vigna sinensis''
http://www.ipni.org/[...]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entry for Pl. Jav. Rar. (Hasskarl)
http://www.ipni.org/[...]
[4]
서적
Top 100 Food Plants
https://books.google[...]
NRC Research Press
[5]
웹사이트
Are black-eyed peas really peas?
https://www.loc.gov/[...]
2020-05-16
[6]
웹사이트
Southern Peas - Gardening Solutions - University of Florida,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https://gardeningsol[...]
2020-05-16
[7]
웹사이트
Niebe: A Food of Choice to Combat Hunger
https://www.icco-coo[...]
2020-05-16
[8]
웹사이트
ñebbe - Wiktionary
https://en.m.wiktion[...]
2020-05-16
[9]
웹사이트
Crowder pea
https://www.thefreed[...]
2020-05-16
[10]
서적
Advances in Cowpea Research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11]
논문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ubspecies of Vigna unguiculata (L.) Walp. based on allozyme variation
[12]
문서
[13]
서적
Pulses, Sugar and Tuber Crops, Genome Mapping and Molecular Breeding in Plants
Springer-Verlag
[14]
서적
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CRC Press
[15]
논문
Diversity in 113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accessions assessed with 458 SNP markers
[16]
웹사이트
Plant guide for cowpea (''Vigna unguiculata'').
https://plants.usda.[...]
2012
[17]
서적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8]
웹사이트
Alternative Field Crops Manual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Cooperative Extension
2017-04-13
[19]
논문
Leaf morphology in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QTL analysis, physical mapping and identifying a candidate gene using synteny with model legume species
2012
[20]
논문
Natural hybridization among wild, weedy and cultivated ''Vigna unguiculata'' (L.) Walp.
1975
[21]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2016
[22]
논문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mong cultivated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cultivars from a range of localities across West Africa using agronomic traits
[23]
논문
The Potential Role of Neglected and Underutilised Crop Species as Future Crops under Water Scarce Conditions in Sub-Saharan Africa
2017
[24]
논문
Early domesticated cowpea (''Vigna unguiculata'') from Central Ghana
2007
[25]
논문
Diversification of cowpea in the Mediterranean and other centres of cultivation.
[26]
서적
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Two Volume Se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7]
논문
Growth pattern of infants fed with a mixture of extruded malted maize and cowpea.
[28]
서적
Advances in Cowpea Research.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Japan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Agricultural Sciences.
[29]
서적
Advances in Cowpea Research.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Japan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Agricultural Sciences.
[30]
웹사이트
Production guidelines for Cowpeas
https://www.arc.agri[...]
[31]
논문
Farmers' Guide to Cowpea Production in West Africa.
[32]
논문
Cowpea [''Vigna unguiculata''] cultivation on the Sahelian region of west Africa: Farmers' preferences and production constraints
http://agris.fao.org[...]
[33]
논문
Current trends in the use of traditional and organic methods for the control of crop pests and diseases in Nigeria
[34]
논문
Toxicity and repellence of African plants traditionally used for the protection of stored cowpea against Callosobruchus maculatus
http://cat.inist.fr/[...]
2017-04-14
[35]
논문
Eradication of Cowpea Weevil (Coleoptera: Bruchidae)in Cowpeas by Solar Heating
[36]
논문
Profitable chemical-free cowpea storage technology for smallholder farmers in Afric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37]
논문
Insect pests of cowpeas
[38]
논문
Bionomics, host plant resistance, and management of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http://oar.icrisat.o[...]
[39]
웹사이트
Guide to insects, arthropods, and molluscs of northern Dogon country
https://dogonlanguag[...]
[40]
논문
Insect Pests of Cowpeas
Annual Reviews (publisher)
[41]
웹사이트
EENY223/IN380: Cowpea Curculio, Chalcodermus aeneus Boheman (Insecta: Coleoptera: Curculionidae)
https://edis.ifas.uf[...]
2023-06-15
[42]
웹사이트
Callosobruchus chinensis, The Pulse Beetle {{!}} Zoology for IAS, IFoS and other competitive exams
https://www.iaszoolo[...]
2024-04-23
[43]
논문
A study on ''Maruca vitrata'' infestation of Yard-long beans (''Vigna unguiculata'' subspecies ''sesquipedalis'')
[44]
논문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Maruca vitrata F. (Lepidoptera: Crambidae) Populations on Cultivated Cowpea and Wild Host Plants: Implications for Insect Resistance Management and Biological Control Strategies
[45]
웹사이트
Nigerian GMO cowpea farmers testify to reduced pest infestation and better yields
https://alliancefors[...]
2022-01-26
[46]
논문
Insect resistance management for stored product pests: a case study of cowpea weevil (Coleoptera: Bruchidae)
[47]
논문
Pyramiding of insecticidal compounds for control of the cowpea bruchid (Callosobruchus maculatus F.)
[48]
논문
Storing cowpea (''Vigna unguiculata'') seeds in active cattle kraals for suppression of Callosobruchus maculatus
[49]
논문
Egg laying decisions by the bean weevil Callosobruchus maculatus
[50]
논문
Preservation of cowpea grain in sub-Saharan Africa—Bean/Cowpea CRSP contributions
[51]
서적
Advances in Cowpea Research
IITA
[52]
논문
The control of weed, pest and disease complexes in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by the application of pesticides singly and in combination
[53]
웹사이트
Southern Pea (Blackeye, Cowpea)
http://plantdiseaseh[...]
Texas Plant Disease Handbook
2017-04-14
[54]
논문
Cowpea mosaic Virus: The Plant Virus–Based Biotechnology Workhorse
[55]
논문
Use of cowpea trypsin inhibitor (CpTI) to protect plants against insect predation
[56]
논문
Effects of Transgenic Cry1Ac + CpTI Cotton on Non-Target Mealybug Pest ''Ferrisia virgata'' and its Predator ''Cryptolaemus montrouzieri''
[57]
논문
Screening for Drought Tolerance in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at Seedling Stage under Screen House Condition
https://www.research[...]
2018-01-01
[58]
논문
Effects of Drought on Morphological Traits in Some Cowpea Genotypes by Evaluating Their Combining Abilities
2017
[59]
논문
Drought tolerance in cowpea species is driven by less sensitivity of leaf gas exchange to water deficit and rapid recovery of photosynthesis after rehydration
2016-03-01
[60]
논문
Diversity of Drought Tolerance in the Genus Vigna
2018-06-15
[61]
웹사이트
CWR » Cowpea Pre-breeding Project
https://www.cwrdiver[...]
2018-08-15
[62]
논문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63]
논문
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two cowpea cultivars grown in temperate Indian climate
[64]
뉴스
Cowpeas Recipe
http://www.africanfo[...]
2017-04-14
[65]
웹사이트
Africa Imports - African Recipes - Red-Red Stew
http://africaimports[...]
2017-04-14
[66]
논문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a renewed multipurpose crop for a more sustainable agrifood system: nutritional advantages and constraints
[67]
뉴스
The Long and the Short of Yard-Long Beans
https://food52.com/b[...]
2017-04-14
[68]
웹사이트
Koki
http://www.congocook[...]
2017-04-14
[69]
논문
Households' Preference and Usage of Cowpea-Based Products and Varieties in Western Zone of Bauchi State, Nigeria
[70]
논문
The use of cowpeas (''Vigna unguiculata'') in improving a popular Nigerian weaning food
[71]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72]
뉴스
Field Peas, a Southern Good Luck Charm
https://www.nytimes.[...]
2017-04-14
[73]
간행물
Utilization of cowpeas for human food.
[74]
간행물
Functional properties of purified vicilins from cowpea (''Vigna unguiculata'') and pea (''Pisum sativum'') and cowpea protein isolate
[75]
서적
Encyclopedia of Food and Health
Academic Press
[76]
간행물
A review of the contribution of cowpea leaves to food and nutrition security in East Africa
2019-12-17
[77]
웹사이트
Cow peas, dry production in 2020,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https://www.fao.org/[...]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2
[78]
문서
24/01/2015 FAO 2012 FAOSTAT Gateway
http://faostat.fao.o[...]
[79]
서적
Advances in Cowpea Research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80]
간행물
Cowpea supply and demand in West and Central Africa
[81]
서적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enhancing sustainable Cowpea production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82]
웹사이트
Cowpea Post-harvest Operations
http://www.fao.org/f[...]
2004
[83]
서적
からだのための食材大全
NHK出版
2018-11
[8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85]
서적
日本の野菜
八坂書房
[86]
간행물
ササゲの花外蜜腺に集まるアリはカメムシから莢果を守れるか?
2012-05
[87]
문서
新猿楽記#三の君の夫
[88]
웹사이트
第3章 調理室における衛生管理&調理技術マニュアル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0-06-06
[89]
웹사이트
ささげ
https://www.maff.go.[...]
東海農政局
2020-06-06
[90]
뉴스
とびつき団子
https://www.fukuishi[...]
福井新聞
2007-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